【팩트TV】 201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비중이 40%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보여 논란이 예상된다. 교육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에 이어 또다시 논란을 일으킬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진재관 박사 등 역사 교육과정 연구팀은 12일 오후 서울 연세대에서 토론회를 열고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발표될 시안은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동아시아사·세계사 등 4개 과목이다.
연구진은 한국사 시안에서 현재 근현대사 비중이 과다하다는 의견을 반영했다며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비중을 5대 5에서 6대 4 비중이 되도록 조정했다."고 밝혔다.
대신 삼국시대 등 고대사 비중이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고등학교 교과서의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발전 대단원에 삼국시대 서술이 포함돼 있지만 ’고대 국가의 발전‘이라는 대주제로 별도로 실린다.
이같은 조치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150여년에 남짓한 근현대사(흥선대원군 등장 이후)가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것이 과도하다는 지적에서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근현대사 비중의 축소는 세계의 역사교육 추세에 반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미리 배포된 토론문에서 "세계의 역사교육 추세는 한결같이 근현대사를 중시하고 있고 역사교육에서 근현대사가 중시되는 점은 우리가 몸담은 현재와 바로 이어진 시기이기 때문"이라며 근현대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근현대사에 대한 부분은 학생들의 흥미가 높은 편이다. 과거 근현대사 과목은 수험생들이 수능에서 많이 선택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2014수능(2013년 시행)부터 근현대사는 폐지되고 국사와 통합돼 한국사 과목의 일부가 됐다. (기존의 국사·근현대사·세계사에서 한국사·동아시아사·세계사로 개편됐다.)
지난 2009 수능에서 문과 계열 응시자의 사회탐구 영역 선택비율은 59.3%로, 전체 11개 과목중 사회문화, 한국지리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지난 2010년 수능에서도 62.7%가 선택해 역시 세 번째로 선택비율이 높았다.
이와는 반대로 국사 과목의 선택비율은 2009년엔 17.9%, 2010년엔 18.7%에 그쳐 11개 과목 중 7위를 기록했다. 세계사 과목은 10.3%, 10.4%로 11개 과목 중 응시자들이 가장 선택하지 않았었다. 이와 같이 학생들은 역사과목을 기피하면서도, 근현대사 과목에 대해선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팩트TV후원 187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