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TV】 반기문 UN사무총장이 1980년대 정치적 탄압을 받고 미국에 망명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향을 파악, 전두환 정권에 보고했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외교부는 17일 '외교문서공개에 관한 규칙'에 따라 생산된 지 30년이 지난 1985년도 문서 등을 일반에 공개했는데, 그 중 반 총장의 이름이 등장하는 외교문서가 나왔다. 당시 반 총장은 미국 하버드 대학의 연수생이었다.
1985년 1월 7일, 당시 반기문 외무부 참사관은 미국의 학계 인사 등 130명으로 구성된 '김대중 안전귀국 보장 운동'(campaign to assure a safe return for KIM DAE JUNG)이 김 전 대통령의 안전 귀국을 요청하는 연명 서한을 전두환 당시 대통령 앞으로 보낼 예정이라고 주미 대사관에 보고했다.
이 서한은 전두환 당시 대통령에게 발송될 예정이었으며 반 총장은 이보다 사흘 앞서 하버드대 교수로부터 이 정보를 입수해 당시 유병현 주미 대사에게 보고했다. 이는 ‘김대중 동정’이라는 제목의 전보로 8일 본국의 외무부 장관에 보고됐다.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찬탈한 전두환 정권으로부터 광주 민중항쟁의 배후로 지목받아 내란 음모 등으로 사형을 선고받은 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김 전 대통령은 82년 신병치료 명목으로 미국에 출국했다.
‘김대중 안전귀국 보장 운동’은 서한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문제에 대한 헌신적 노력으로 세계에서 존경을 받는 김대중이 귀국할시 안전과 자유를 부여하는 것은 필요불가결한 요소일 것”이라면서 “국내적으로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하려는 노력은 모든 국가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우리는 이런 노력이 귀국의 1985년 국회의원 선거,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올림픽 게임과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화합을 성취하는데 중대한 요소라고 믿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동 서한에 연서한 인사는 하바드 대학 총장, 라이샤워 교수, 브레진스키 교수, 헌팅턴 교수, 미네아폴리스 시장 등인 바, 동 서한은 접수되는 대로 송부 예정"이라고 돼 있다.
이같이 반 총장이 김대중 전 대통령 구명 활동을 하는 미국 지식인들의 동향을 전두환 정권에 보고한 셈이다. 전두환 정권은 당시 김 전 대통령 귀국을 막는 데 실패했고, 김 전 대통령은 12대 총선 수일 전 귀국했다.
반 총장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귀국 직전인 같은해 1월 30일에도 김 전 대통령과 관련 정보를 한차례 더 보고했다. 주미대사관측이 1985년 1월 30일 외교부 장관에게 보낸 ‘김대중 동정’ 전보에는 “하바드에 연수 중인 반기문 연구원이 보내온 85.1.23자 The Harvard Crimson 지의 김대중 관련 보도를 별첨 송부합니다”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이같이 전두환 정권에 부역했다는 논란은 이른바 ‘반기문 대망론’에 대해서도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반 총장은 새누리당 내 친박계가 적극 차기 대권주자로 밀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김무성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문수 전 경기지사 등 이른바 ‘잠룡’들이 치명상을 입은 만큼, 새누리당 내에선 반 총장이 절실할 수밖에 없단 것이다.
그러나 이번 총선서 최경환·조원진 의원 등이 주도한 ‘진박 마케팅’은 처참히 무너진데다, 반 총장은 당내 지지기반이 없고 정치력이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쉽지 않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