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TV】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전준위)가 문재인 전 대표 때 만들어진 ‘김상곤 혁신위안’을 폐기하려는 움직임을 노골적으로 보이고 있어 논란을 키우고 있다. 폐지된 사무총장제-최고위원제를 원상복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전당대회 이후 당이 혁신위 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질타가 나온다.
더민주 전준위는 30일 1차 회의를 열고 지도체제 개편에 대해 논의하는데, 핵심은 김상곤 혁신위가 만든 지도체제를 폐지하고 과거로 되돌리려는 것이다.
지난해 9월 당 중앙위원회의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김상곤 혁신위안에 따르면. 더민주는 올해 8~9월 중에 개최할 예정인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은 사라지고 권역별, 세대·계층별 '대표위원'으로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 이같은 '대표위원회'는 당 대표 1인, 5개 권역(서울·제주, 경기·인천, 강원·충청, 호남, 영남)의 대표 5인, 여성·청년·노동·민생의 직능대표 4인, 당연직 원내대표 1인 등 총 11명으로 구성된다.
또 사무총장 제도를 총무본부장, 조직본부장, 전략홍보본부장, 디지털본부장, 민생생활본부장의 5본부장 체제로 개편했고, 현재 시행 중이다.
문재인 전 대표시절 김상곤 혁신위가 이같은 혁신안을 내놓은 이유는 ‘계파갈등 청산’에 있다. 기존 최고위원 선출 방식은 기존 최고위원 선출방식은 투표수에 따라 상위 5명이 차례대로 선출되는 만큼, 계파별로 ‘나눠먹기’하기 딱 좋기 때문이었다. 또한 당내 권력은 필히 사무총장에 집중되는 만큼, 사무총장을 어느 쪽이 차지하느냐가 계파갈등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일소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전국정당이라는 이미지와 함께 다양한 전문성과 목소리를 반영하겠다는 뜻이다. 이러한 내용의 혁신안은 지난해 9월16일 중앙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그러나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 기획·총무 분과장을 비롯해 총괄본부장까지 맡게 된 ‘손학규계’ 정장선 총무본부장은 이같은 최고위-사무총장 폐지를 골자로 하는 혁신위의 당 지도부 구성안과 관련해 폐기 가능성을 적극 시사했다.
정 본부장은 지난 26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최고위원제 폐지 혁신안과 관련해 “전국 당원들이 선출하는 최고위원제를 부활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이 있다”며 김상곤 혁신위안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또 사무총장제 부활 여부에 대해서도 “이걸 막 분할해서 쪼개놓으니까 효율성 문제에서 너무 심각하다“며 ”지난 번 비대위에서 논의해서 많은 분들 의견을 들어봤지만 거의 모든 분들이 다 이건 바꿔야 된다는 의견들이 많아서 그렇게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5본부장 체제 폐기 가능성을 적극 시사했다.
이에 혁신위원이었던 우원식 더민주 의원은 30일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5본부장 체제는 비대위로 바로 넘어갔기 때문에 제대로 작동되지 못했다. 최고위원제를 폐지한다거나 그리고 혁신안에 들어 있는 민생연석회의라든가 이런 구체적인 안들은 아직 작동돼보지도 못했다. 시작이 안 된 것”이라고 반박헀다.
우 의원은 “제대로 시작되지 않은 것을 효율성을 들어서 폐기하겠다고 하는 것은 그 시대, 계파가 양산되었던 그런 문제를 갖고 있는 체제로 다시 돌아가자, 이렇게 얘기하는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질타했다.
계파갈등이 총선 전보다 수그러졌기 때문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권력이 집중되면 계파가 나오는 건 언제든지 마찬가지”라며 “이걸 시스템으로 체제를 바꾸지 않으면 언제든지 계파갈등이 양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최고위원제 문제점에 대해서도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줄 세우기다. 그렇기 때문에 최고위원제를 폐지하고 권역별, 부문별 대표를 뽑아서 대표위원제로 해야 계파 정치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고위원제 부활을 시켰다간 언제든지 과거처럼 갈등이 터지고 말 거라는 지적이다.
또 전준위는 오제세 준비위원장을 포함해 정장선 총괄본부장, 이찬열‧유은혜‧윤관석‧이철희 의원 등 대부분의 전준위원들은 문재인 전 대표와 거리가 멀다. 김종인 비대위 2기 체제에 역시 문 전 대표와 가까운 인사가 거의 없다는 점과 유사하다. ‘짜르’ 라고까지 불리는 김종인 비대위 대표 체제 이후론 과거 비주류로 불리웠던 인사들이 오히려 막강한 힘을 행사하고 있는 셈.
앞서 김종인 비대위는 총선을 앞두고도 ‘김상곤 혁신위안’에 손을 댔다가 지지자들의 거센 반발을 자초한 바 있다.
혁신위안의 ‘하위 20% 컷오프’ 외에도 추가로 정청래·이해찬·전병헌·이미경·강동원 의원 등을 별다른 이유도 대지 않고 ‘정무적 판단’이라는 말로 뭉개면서, 마구 컷오프해 지지자들의 거센 비난을 샀다.
또 비례대표 선출 과정에서도 당선 안정권인 A그룹, 당선 유력권인 B그룹, 당선과는 무관한 C그룹으로 이른바 ‘칸막이’를 치는 월권을 행사했다. 이같은 ‘칸막이’ 파동은 김종인 대표의 ‘셀프 비례 2번’ 공천이나, 당 정체성-도덕성과 어긋나는 인사들이 당선 안정권인 A그룹에 무더기로 배치된 논란과 더해져 거센 파동을 일으켰다. 이후 중앙위의 ‘당헌’ 위반이라는 거센 질타를 받고, 일부 수정된 바 있다.
탈당 사태까지 감수하면서 힘들게 만들고 지켜낸 혁신안을 써보지도 않고, 선출된 권력도 아닌 비대위와 전준위가 폐기처분 시도를 한다면 유권자들이 제 1당을 만들어준 의미도, 전국정당이 된 의미도 상당부분 퇴색될 수밖에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