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TV】 본격적인 전당대회 준비에 들어가는 더불어민주당이 과거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제안한 사무총장제·최고위원제 폐지안에 대해 원상복구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당내서 나오고 있어, 전당대회 이후 당이 혁신위 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9월 당 중앙위원회의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김상곤 혁신위안에 따르면. 더민주는 올해 8~9월 중에 개최할 예정인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은 사라지고 권역별, 세대·계층별 '대표위원'으로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
이같은 '대표위원회'는 당 대표 1인, 5개 권역의 대표 5인, 여성·청년·노동·민생의 직능대표 4인, 당연직 원내대표 1인 등 총 11명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권역은 서울·제주, 경기·인천, 강원·충청, 호남, 영남 등 5개 권역으로 구분하며 권역별 1명씩 대표위원을 선출하며, 권역별 위원은 해당 권역의 시·도당위원장 중에서 호선으로 선출한다. 또 세대·계층별 대표위원은 여성, 노인, 청년, 노동, 민생 등 5개 분야에서 1명씩 대표위원을 선출한다. 선거인단은 정기전국대의원대회 의원단과 권리 당원으로 구성된다.
혁신위는 이같은 최고위원제의 폐지 이유로 ‘계파패권 갈등’ 일소를 들었다. 기존 최고위원 선출방식은 투표수에 따라 상위 5명이 차례대로 선출되는 만큼, 계파별로 ‘나눠먹기’하기 딱 좋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전국정당이라는 이미지와 함께, 다양한 전문성을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 기획·총무 분과장을 비롯해 총괄본부장까지 맡게 된 ‘손학규계’ 정장선 총무본부장은 이같은 최고위-사무총장 폐지를 골자로 하는 혁신위의 당 지도부 구성안과 관련해 폐기 가능성을 적극 시사했다.
김종인 비대위 대표에 의해 임명된 정 본부장은 26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최고위원제 폐지 혁신안과 관련해 “이런 것들이 과연 적합하느냐하는 당내 논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이번에 전국 당원들이 선출하는 최고위원제를 부활하는 것이 낫다라는 의견들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사무총장제 폐지에 대해서도 “직전에 너무 많이 분열시켜놔서 효율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아서 이런 것까지 포함해 논의를 해서 다음 지도부가 제대로 일을 하도록 해 주는 게 좋지 않겠나라는 의견이 다수여서 그런 부분들을 이번에 논의하려고 한다”라며 혁신안 폐기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나아가 “요새 사무총장이 옛날보다 힘도 약화되고 또 권한도 많이 줄어 들었는데. 또 이걸 막 분할해서 쪼개놓으니까 효율성 문제에서 너무 심각하다.”면서 “제가 총무본부장 맡기 전에도 그런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또 지난 번 비대위에서 논의해서 많은 분들 의견을 들어봤지만 거의 모든 분들이 다 이건 바꿔야 된다는 의견들이 많아서 그렇게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고위 부활 여부에 대해서도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을 하기 때문에 논의를 할 것”이라며 가능성을 적극 시사했다.
앞서 김종인 비대위는 총선을 앞두고 김상곤 혁신위의 ‘하위 20% 컷오프’ 외에도, 혁신안과는 무관하게 정청래·이해찬·전병헌·이미경·강동원 의원 등을 추가 컷오프해 지지자들의 거센 반발을 자초한 바 있다. 특히 추가 컷오프에 해당한 의원들 다수가 지역구 경쟁력이 높은 인물들이었기 때문에 그러했다. 그런 지지자들의 거센 반발에도 김종인 대표는 제대로 된 해명은 없이 ‘정무적 판단’이라는 말로 뭉갰다.
또 김종인 비대위는 비례대표 선출 과정에서도 당선 안정권인 A그룹, 당선 유력권인 B그룹, 당선과는 무관한 C그룹으로 이른바 ‘칸막이’를 쳤다가 중앙위로부터 ‘당헌’ 위반이라는 질타를 받은 뒤, 결국 철회한 바 있다.
탈당 사태까지 감수하면서 힘들게 만든 혁신안을 써보지도 않고, 선출된 권력도 아닌 비대위가 이를 폐기처분하려 한다면 제 1당이 된 의미도 전국정당이 된 의미도 상당부분 퇴색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