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TV】육군이 주요 접경지역에 설치한 CCTV가 국산으로 둔갑한 사실상 중국산 장비로 확인된 바 있는데, 이번에는 이를 운용하는 프로그램에서 중국 쪽 서버로 영상을 넘겨주거나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 몰래 접속할 수 있는 악성코드가 숨겨졌던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아직 운용 전이어서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26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육군이 해·강안 경계 과학화 사업으로 설치한 CCTV 215대의 운용 프로그램에 악성코드가 숨겨져 있었다”며 “CCTV에 찍힌 영상과 사진을 외부로 전송하는 추가 IP가 중국 북경에 있는 서버였다”고 말했다.
이어 “이 악성코드에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백도어도 있었다”며 “심지어 CCTV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유출을 막기 위해 단독망으로 되어있는데,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숨겨져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6년 국방망 해킹 사건’을 거론하며 “당시에도 단독망이라 유출 가능성이 없다고 했지만 결국 기밀 유출 사실이 밝혀지지 않았냐”며 “인터넷과 연결하는 악성코드가 숨겨졌거나 바이러스 백신의 설치나 업데이트를 위해 연결했을 때 넘어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CCTV를 만든 중국의 업체에서 악성코드를 고의로 심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중국 측에 수사 공조를 요청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우리 측 군 감사장비에 이러한 악성코드가 숨겨져 있는지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영상제보 받습니다]
진실언론 팩트TV가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