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트
제목 한국 과학, 기초 과학과 더불어 교육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2017-10-31 22:22:44
작성인
트위터로 보내기 미투데이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조회:445     추천:127

필자는 현재 과학을 사랑하고, 공대 진학을 꿈꾸고 있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다. 얼마 전 노벨상 수상자들의 명단이 공개되었다. 하지만 분명 노벨상 수상은 전 세계 사람들의 축제지만 우리나라는 마냥 웃을 수 없는 현실에 처해있다. 그리고 이맘때쯤이면 언론은 매년 일본과 우리나라 노벨상 수상 실적을 비교하는 기사가 나오면서, 은근 일본에 대한 열등감을 조장하기도 한다. 나는 이런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 와 더불어 과학에 대한 교육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 우리나라 과학 교육현장을 온몸으로 느끼고 있는 입장에서 보면 과학이라는 교과는 흥미가 없더라도 아니라 문제집만 많이 풀고 유형을 외우면 실질적으로 과학에 진짜 흥미 있는 친구보다 성적이 높게 나올 수 있다. 그리고 그런 과학의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져 성적을 잘 맞는 친구들은 자신의 능력을 과학 분야에 투자하지 않고 순수 과학으로만은 먹고 살기 힘든 현실을 이유로 거의 의대로 전향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은 내 주변에 있는 과학고, 영재고 친구들에게도 종종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외국의 교육정책에 비해 부족한 한국의 주입식 교육정책 안에서 과학을 잘한다고 인정받는 학생들조차 소수를 제외하고 모두 다른 길을 걷게 되니 한국 과학은 더욱 발전이 더딜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지금 우리나라는 당장의 결과에 집착하고, 전반적인 교육 방향도 그런 가시적 결과를 내놓을 수 있는 학생 육성으로 이루어지는 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웃 국가인 일본보다 노벨상 수도 턱없이 부족하고 기초과학분야에서도 부족한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가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장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좀 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여유로운 사고가 먼저 사회 전반에 확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추천 소스보기 답변 수정 삭제 목록
이전글 : -자식들에게는 나라다운 나라를.- (2017-10-30 06:48:52)  
다음글 : -홍종학이 동네북인가.- (2017-11-02 07:19:07)